3월 8일은 민주의거 기념일 입니다.
3·8 민주의거는 1960년 3월 8일부터 3월 10일까지 이루어진 민주화 운동입니다. 이 운동은 대전지역 고등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자유당 독재정권의 부정과 부패, 불법적 인권유린에 대항하여 일어났습니다. 이들 학생들은 민주와 자유, 정의를 위한 순수한 열정으로 불의에 항거하였습니다.
3·8 민주의거는 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이며, 지역민주화운동의 효시로 역사적 교훈과 가치가 큰 것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운동은 대구의 2·28, 마산의 3·15와 함께 4·19혁명의 단초로서 중대한 의의를 새겼습니다.
이 운동은 이후 3·15 마산 의거와 4·19 혁명으로 이어졌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에 3·8 민주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정하였습니다.
1960년 3월 8일: 대전지역 고등학생 1,000여명이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의 독재에 항거하여 의거를 시작합니다.
1960년 3월 10일: 학생들이 무차별로 구타하고 연행하는 경찰에 분개하여, 더 많은 대전 시민과 학생들이 경찰에 맞서 투석전까지 벌이는 규모로 시위가 커집니다.
이후: 이 운동은 이후 3·15 마산 의거와 4·19 혁명으로 이어집니다.
2018년 10월 30일: 대한민국 정부는 3·8 민주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정하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을 의결하고, 11월 2일에 공포하였습니다.
왜 운동을 시작했을까?
대전지역 고등학생들이 3·8 민주의거를 시작한 동기는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의 독재, 부정부패, 그리고 인권침해에 대한 항거였습니다.
1960년 3월 8일, 대전 공설운동장에서 열리는 장면 민주당 부통령 후보 선거연설회의 참여를 막는 이승만 자유당 정권의 행위에 항의하여 학생들이 일어났습니다.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결의문을 외쳤습니다.
학원의 자유를 보장하고 학생 동태 감시를 즉각 중단하라!
신성한 학원에서의 선거 운동을 배척하며 어떠한 사회적 세력의 침투도 용납할 수 없다!
이들은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법적 인권침해에 대한 항거를 통해 자유와 정의, 민주화를 위해 불의에 항거한 민주화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3·8 민주의거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있습니다.
- 박제구: 대전고 학도호국단 대대장으로, 이승만 정권의 부정부패에 항거하여 의거를 주도했습니다.
- 최정한: 대전고 규율부장으로, 박제구와 함께 의거를 주도했습니다.
- 김정남, 김영광, 권오덕, 김용재, 김태영, 이정훈, 인창원, 최우영, 전희남, 김상섭: 이들 역시 대전지역 고등학교 학생들로서 의거에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경찰의 밀착 감시와 폭압적인 진압에도 불구하고 민주와 자유, 정의를 위한 순수한 열정으로 학교 담을 뛰어넘어 의거에 참여했습니다.
3.8시.찬가
증언의 얼굴 [김용재]
가슴 터지는 아우성 드높았다
1960년 3월 8일
민주의 목숨을 위해
자유의 광명을 찾아
파도처럼, 대전의 학생의거
양양했다 - 우뚝했다
무지한 총부리도
비겁한 방망이도
못난 바리게이트도
모두 기세를 잃고
정의의 깃발로 올린
역사의 불꽃 진실로 뜨거웠다
시대의 검은 장막을 뚫고
저 눈부신 하늘 향해
증언의 얼굴로 탑이 서다